<div data-resize="8ykm5e-sticky" data-check-every="0" data-dynamic-height="false" data-margin-top="5" data-anchor="snsAnchor" data-sticky="ffx0xn-sticky"> </div>
<h4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666666; text-align: left;" data-ke-size="size20">2월 물가 상승률 3.1%, 한 달 만에 도로 3%대<br /><br />신선과실 41.2% 올라 32년 5개월 만에 신기록<br /><br />정부 "체감물가 낮추기 위해 전방위 대책 추진"<br /><br />한은 "당분간 생활물가 흐름 울퉁불퉁 높을 것"</h4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div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421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RUnM0/btsFOFtORLY/elkbpaauNA8UcZMchnBPw0/img.pn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소비자물가 동향. 자료 : 통계청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RUnM0/btsFOFtORLY/elkbpaauNA8UcZMchnBPw0/img.pn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RUnM0%2FbtsFOFtORLY%2FelkbpaauNA8UcZMchnBPw0%2Fimg.pn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421"/></span><figcaption>소비자물가 동향. 자료 : 통계청</figcaption>
</figure>
</div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지난달 소비자물가가 다시 상승했다. 지난해 10월 3.8%에서 석 달 연속 하락해 올해 1월 2%대까지 낮아졌던 상승률은 한 달 만에 도로 3%대를 기록했다. 사과 등 과일류가 41.2%라는 32년여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영향이 컸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통계청이 6일 발표한 ‘2월 소비자물가 동향’ 보고서에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.77(2020=100)로 전년 동월 대비 3.1% 올랐다. 지난 1월 2.8%로 둔화했던 상승률이 한 달 만에 다시 3%대로 올라갔다.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 이후 줄곧 3%대를 보이다 10월 3.8%를 정점으로 3개월 연속 둔화해 올해 1월에는 2.8%까지 떨어졌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한 달 만에 재반등하게 된 데는 신선식품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0.0%나 상승한 영향이 컸다. 특히 신선과실은 41.2%가 올라 1991년 9월 43.9% 이후 32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. 신선채소도 12.3%가 올랐다. 신선채소 가격은 지난해 3월 13.9% 오른 뒤 11개월 만에 상승폭이 가장 컸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div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275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X5Qj/btsFLVE6KzR/g7Yg33Om0WPndAxPO7ULO1/img.jp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소비자물가 지수 추이 (2024년 2월)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X5Qj/btsFLVE6KzR/g7Yg33Om0WPndAxPO7ULO1/img.jp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HX5Qj%2FbtsFLVE6KzR%2Fg7Yg33Om0WPndAxPO7ULO1%2Fimg.jp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275"/></span><figcaption>소비자물가 지수 추이 (2024년 2월)</figcaption>
</figure>
</div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과일 가운데 사과는 지난 1월 56.8% 상승에 이어 2월에도 71.0%나 급등했다. 이상 기온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가 가격 상승의 원인이다. 봄철 저온 피해로 착과수가 줄었던데다 여름철 집중 호우, 수확기 탄저병 발생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해 생산량이 30% 급감했다. 검역 문제로 수입마저 쉽지 않아 사과는 다음 수확 철까지는 '금사과' 상황이 계속될 전망이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사과만 오른 게 아니다. 사과와 대체재 관계에 있는 다른 과일들의 가격까지 치솟았다. 특히 겨울철 수요가 늘어나는 귤은 1월에도 39.8% 올랐으며 노지 생산량 감소까지 겹치면서 2월에는 78.1% 급등했다. 배(61.1%)와 딸기(23.3%) 등 다른 과일도 큰 폭 올랐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div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86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T9RM/btsFNyvlUEQ/14fn6J0jKxOo5idDlzkfj1/img.jp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신선식품(사과, 귤, 배, 토마토) 물가 상승률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T9RM/btsFNyvlUEQ/14fn6J0jKxOo5idDlzkfj1/img.jp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tT9RM%2FbtsFNyvlUEQ%2F14fn6J0jKxOo5idDlzkfj1%2Fimg.jp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86"/></span><figcaption>신선식품(사과, 귤, 배, 토마토) 물가 상승률</figcaption>
</figure>
</div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2월 소비자물가지수의 품목성질별 등락률을 보면 농축수산물이 전년 동월 대비 11.4% 상승에 전체 물가를 0.85%p 올렸다. 특히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20.9%나 됐다. 축산물과 수산물의 상승률은 각각 1.1%와 1.8%에 머물렀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물가 하락 폭도 전월(-5.0%)보다 축소된 -1.5%에 그쳤다. 전체 물가 기여도도 1월 -0.21%p에서 -0.06%p로 줄면서 상대적으로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서비스 물가는 2.5% 오르며 전달(2.6%)보다 상승 폭이 다소 축소됐다. 공공서비스 물가도 2.0% 오르며 전달(2.2%)보다 상승 폭을 줄였다. 개인서비스 물가는 3.4% 올랐다. 외식 물가는 3.8% 오르면서 2021년 10월(3.4%) 이후 28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작았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과일을 비롯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.7% 올랐다.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(4.5%) 정점을 찍은 뒤 올해 1월(3.4%)까지 상승 폭이 둔화했지만 넉 달 만에 다시 상승 폭이 커졌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div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400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98cp/btsFML9Q3LE/n1KRu3WCt48KEAoSIbX7S0/img.jp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2월 소비자 물가동향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. 2024.3.6. 연합뉴스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98cp/btsFML9Q3LE/n1KRu3WCt48KEAoSIbX7S0/img.jp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198cp%2FbtsFML9Q3LE%2Fn1KRu3WCt48KEAoSIbX7S0%2Fimg.jp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400"/></span><figcaption>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2월 소비자 물가동향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. 2024.3.6. 연합뉴스</figcaption>
</figure>
</div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정부는 국민 체감물가를 낮추기 위해 과일과 채소 중심의 전방위적 대책을 추진할 방침이다.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"사과와 대파 등 13개 품목 납품단가 지원 예산을 15억원에서 204억원으로 대폭 확대해 유통업체 판매가격에 직접 연동되도록 하겠다"고 말했다. 송 장관은 이어 "참외가 본격 출하되는 4월까지 소비자 가격이 높은 과일과 채소를 중심으로 전방위적 대책을 추진해 국민 체감물가를 낮추겠다"고 다짐했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하지만 한국은행은 앞으로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정학적 리스크나 국내외 경기 흐름 등에 따라 불확실성이 크다고 진단했다.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6일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"농산물 등 생활물가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이어갈 수 있는 점을 감안할 때, 앞으로 물가 흐름은 매끄럽기보다 울퉁불퉁할 수 있다"고 경고했다.</p>
<p style="color: #000000; 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div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87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yXwa/btsFLPSuig9/zsV4Q8UtGyEtsZn1HIHdck/img.pn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소비자물가지수 주요 등락률 추이. 자료 : 통계청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yXwa/btsFLPSuig9/zsV4Q8UtGyEtsZn1HIHdck/img.pn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oyXwa%2FbtsFLPSuig9%2FzsV4Q8UtGyEtsZn1HIHdck%2Fimg.pn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87"/></span><figcaption>소비자물가지수 주요 등락률 추이. 자료 : 통계청</figcaption>
</figure>
</div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원문보기 : <a href="https://www.mindle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465" target="_blank" rel="noopener noreferrer">https://www.mindle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465</a></p>